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베트남 소득 수준과 소득세 현실과 전망 한국과 비교하면 얼마

by 똑똑 센스 2025. 8. 9.
반응형

하노이에서 한 달째 생활하고 있습니다.
카페에서 커피를 주문하며 “여긴 커피가 한국보다 싸네”라고 생각했지만, 곧 월급과 세금이 떠올랐습니다.
“이 소득으로 세금까지 내면 얼마나 남을까?”
실제 생활비 체감과 함께 베트남 소득 수준과 소득세 구조가 궁금해졌습니다.
그래서 베트남 생활 속에서 느낀 소득과 세금 통계 자료와 현지 세법을 직접 찾아 정리했습니다.


베트남 직장인 평균 소득 현황

도시
고도 성장을 보이는 나라

2025년 상반기 기준, 베트남 통계총국(GSO) 자료에 따르면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소득은 약 750만 동(약 40만 원)입니다.
이는 전년 대비 약 7.4% 상승했지만, 여전히 선진국 대비 낮은 수준입니다.

  • 남성 평균: 약 850만 동
  • 여성 평균: 약 630만 동
  • 도시 평균: 약 900만 동
  • 농촌 평균: 약 650만 동

한국과의 소득 비교

2024년 기준 한국 최저 시급은 9,860원, 월 환산 약 206만 원(주 40시간 기준)입니다.
베트남 대도시 최저 시급은 약 1,200원, 월 약 100만 원 수준으로 최저 시급만 8배 차이가 납니다.

1인당 GDP도 격차가 큽니다.

  • 베트남: 약 4,500달러(600만 원)
  • 한국: 약 4만6천 달러(약 4,600만 원)

베트남 소득세 구조

베트남 소득세는 누진세율 구조입니다.
2025년 기준 과세 구간과 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월 소득 구간  세율
0 ~ 5,000,000 5%
5,000,001 ~ 10,000,000 10%
10,000,001 ~ 18,000,000 15%
18,000,001 ~ 32,000,000 20%
32,000,001 ~ 52,000,000 25%
52,000,001 ~ 80,000,000 30%
80,000,001 이상 35%

※ 공제 항목

  • 본인 기본공제: 월 1,100만 동
  • 부양가족 1인당: 월 4,400만 동

즉, 월급이 1,500만 동이라면 기본공제 후 약 5% 세율이 적용됩니다.


세금과 실질 소득

세금을 낸 후 실질 소득은 더 줄어듭니다.
예를 들어 도시 평균 월급 900만 동인 직장인이 부양가족 없이 세금을 낸다면,
기본공제 후 과세 대상 소득은 약 0원에 가깝습니다.
하지만 고소득 전문직이나 외국인 근로자는 세율 구간이 높아져 체감세 부담이 큽니다.


한국-식단
베트남 생활 하면서 먹는 식사


소득세가 낮아도 생활이 빠듯한 이유

  • 월세: 하노이 원룸 300만~500만 동
  • 식비: 200만~300만 동
  • 교통비 및 기타: 100만~200만 동
    이렇게 보면 평균 월급 900만 동이라도 저축 여력은 크지 않습니다.
    소득세 비중보다 물가 상승임금 격차가 더 직접적인 압박 요인입니다.

볼링
여가 생활 여유


결론: 낮지만 오르는 소득, 단순하지 않은 세금 구조

베트남 소득 수준은 아직 한국의 1/7~1/8 수준이지만, 매년 임금이 오르고 GDP도 상승 중입니다.
소득세율은 한국보다 낮지만, 절대 소득이 적다 보니 생활 여유는 크지 않습니다.
다만 외국인 투자 확대, 산업 구조 고도화, 젊은 노동력 등을 감안하면 앞으로 소득 수준 향상 가능성은 높습니다.
“세금이 적다고 해서 무조건 살기 쉽다는 건 아니다” — 이것이 베트남 생활 속에서 느낀 결론입니다.

반응형